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문 위로말, 잘못 하면 욕먹으니 이대로만 따라하세요.

본문

728x90
반응형

나이가 들수록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경조사에 참석할 일이 많아지죠. 특히 가까운 지인의 부고 소식을 듣게 되면 어떤 조문 위로말을 건네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곤 합니다.

 

장례식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자리이기에, 미리 어떤 말을 할지 생각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중하게 건넨 한마디가 유족들의 슬픔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 상황에 맞는 조문 위로말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가까운 친구나 지인, 가족상에 적절한 인사를 건네보세요.

 

조문 위로말 예시

  • "어떤 말로 위로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뜻밖의 비보에 슬픈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갑작스러운 소식을 듣고 연락드립니다. 00님의 별세를 애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의 별세 소식을 듣게 되어 매우 애석합니다. 어떤 위로의 말도 부족하겠지만,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방문이 어려울 때의 문자 메시지 예시

직접 참석이 어려운 경우, 문자 메시지로 조의를 표할 수도 있습니다. 진심이 담긴 문자 한 통도 유족들에게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 "예고 없이 찾아온 슬픈 소식에 애석한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직접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 삼가 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멀리서나마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조문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 "마땅히 찾아뵙는 것이 도리이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서면으로 인사드립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직접 찾아뵙지 못해 마음이 불편하여 이렇게 연락을 드립니다. 잘 추스르시길 바라며, 언제든 도움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조문 시 주의사항

조문할 때는 밝은 표정이나 목소리는 삼가고, 낮고 차분한 목소리로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족이 바쁜 상황일 수 있으므로 직접 전화를 거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친 슬픔을 표현하는 말도 오히려 유족의 마음을 무겁게 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힘을 북돋우려는 말도 유족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화이팅", "힘내" 등의 표현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문자 메시지로 조의를 표할 때 이모티콘이나 줄임말, 은어 등은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고인의 사망 사유에 대해서는 유족이 먼저 말을 꺼내지 않는 이상 질문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마지막으로, 포옹이나 손을 잡아주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조문은 진심 어린 마음으로 유족의 슬픔을 나누는 시간이기에, 예의와 진정성을 담아 조의를 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조문 위로말에 대한 안내를 마칩니다.

상황에 맞게 예문을 활용해 조문 시 적절한 위로를 전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